원자재 ETF의 개념, 종류, 장단점
1. 원자재 ETF의 개념원자재 ETF는 금, 은 같은 귀금속부터 원유, 천연가스, 농산물 등 여러 원자재를 따르는 상품으로 구성된다. 보통 원자재 ETF는 '실물 보유 방식'과 '선물 계약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조금 더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실물 보유 방식: 상품이 직접 금이나 은 같은 원자재를 보유하고, 그 가치를 반영하는 방식이다.선물 계약 방식: 원자재 선물 계약을 매수하여 가격 변동을 따르는 것이다. 원자재를 실제로 보유하지 않고 가격 변동을 따라가는데, 만기 때 새로운 계약을 매수하면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원자재 시장은 공급과 수요, 국제적인 경제 상황, 지정학적 이슈, 기후 변화 등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원자재 ETF는 다른 자산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2...
2025. 2. 17.
채권형 ETF의 개념, 종류, 장단점
1. 채권형 ETF의 개념채권형 ETF는 국채나 회사채, 신용등급별 채권 등 여러 가지 채권에 분산해서 투자를 한다. 그래서 개별 채권보다 덜 위험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올 수 있다. 일반 채권은 보통 만기가 있지만, 채권형 ETF를 사면 운용사에서 계속 채권을 바꾸기 때문에 만기 걱정 없이 길게 투자할 수 있다.또한, 내가 직접 채권을 사려고 하면 일정 이상의 금액이 필요하지만, 채권형 ETF는 큰 돈이 없어도 내가 원하는 여러 가지 채권에 분산해서 투자할 수 있다. 2. 채권형 ETF의 종류채권형 ETF는 국채, 회사채, 단기채, 장기채,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 ETF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려고 한다. 1) 국채 ETF이것은 국가가 발행한 국채에 투자하는 ETF로,..
2025. 2. 17.
주식형 ETF의 개념, 종류, 장단점
1. 주식형 ETF의 개념주식형 ETF란 특정한 주가지수를 추종하면서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거래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우리는 주식형 ETF를 통해 개별 종목이 아니라 여러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에 투자하는 것이고, 이것을 통해서 분산 투자의 효과를 볼 수 있다. ETF는 인덱스펀드와 비슷하지만, 실시간으로 사고 팔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주식형 ETF는 액티브 펀드와는 다르게 특정한 지수를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운용 비용이 낮다. 또, 개별 주식처럼 매매할 수 있어서 내가 원할 때 거래를 할 수 있다. 2. 주식형 ETF의 종류주식형 ETF는 기초자산의 성격과 운용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시가총액 지수형, 섹터(산업), 배당주, 글로벌, 레버리지 및 인버스 EFT 등이 있다. 이것..
2025.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