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 대응과 탄소 중립 정책이 강화되면서 수소 산업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수소는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수소차, 연료전지, 발전소, 산업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수소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상장지수펀드)도 등장하고 있으며, 수소 생산, 저장, 운송, 연료전지 개발 등 수소 경제와 관련된 산업 전반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글은 내가 투자하기 전에 수소 관련 ETF란 무엇인지, 국내에서 투자할 수 있는 주요 수소 ETF 비교, 그리고 수소 산업의 전망 등을 정리한 것이다.
1. 수소 관련 ETF란?
수소 관련 ETF는 수소 경제와 관련된 기업들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로, 수소 생산·저장·운송·활용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수소 경제는 정부 정책 지원과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확대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크지만, 수소 생산 비용, 인프라 구축 등의 한계도 존재한다. 따라서 수소 ETF에 투자할 때는 변동성을 감안해야 하며, 장기적인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관련 ETF의 특징
- 수소차, 연료전지, 수소 저장 및 운송 기업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
-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탄소 중립 정책의 핵심 테마이다.
- 아직 초기 산업이라 변동성이 크지만, 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다.
2. 상품 비교
현재 국내에서 투자할 수 있는 수소 관련 ETF는 국내 수소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ETF와 글로벌 수소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구분된다. 각 ETF의 특징을 살펴보자.
1) RISE 수소경제테마 (케이비자산운용)
- 순자산 규모: 2,366억 원 (가장 큼)
- 3개월 평균 거래량: 59,086주
- 수익률: 18.7% (가장 높음)
- 총 보수: 0.45%
- 배당: 연 1회 지급 (2024년 1주당 80원)
- 투자 목적: 국내 수소 경제 관련 기업에 투자하며, FnGuide 수소경제테마 지수를 추종한다.
1) 특징
- 국내 수소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ETF
- 수익률이 18.7%로 가장 높음
- 거래량과 순자산 규모가 가장 커서 유동성이 뛰어남
- 연 1회 배당 지급 (1주당 80원)으로 배당도 받을 수 있음
2) HANARO Fn전기&수소 (NH-Amundi운용)
- 순자산 규모: 177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3,743주 (거래량 적음)
- 수익률: 6.67%
- 총 보수: 0.45%
- 배당: 연 4회 지급 (마지막 배당 1주당 10원)
- 투자 목적: 전기차 및 수소차 관련 기업 투자, FnGuide 전기&수소차 지수 추종
1) 특징
- 전기차와 수소차 관련 기업에 동시에 투자한다.
- 연 4회 배당 지급하여 배당 안정성이 있다.(배당이 크지는 않음.)
- 거래량과 순자산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유동성이 부족할 수 있다.
3) RISE 글로벌수소경제 (케이비자산운용)
- 순자산 규모: 114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7,157주
- 수익률: 3.93%
- 총 보수: 0.40%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글로벌 수소 경제 관련 기업에 투자, Indxx Hydrogen Economy Index 추종
1) 특징
- 미국, 유럽, 일본 등 글로벌 수소 관련 기업에 투자한다.
- 환헤지를 하지 않기 때문에 환율 변동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배당이 없으며,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다. (3.93%)
4) PLUS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 (한화자산운용)
- 순자산 규모: 106억 원 (가장 작음)
- 3개월 평균 거래량: 25,259주
- 수익률: 0.74% (가장 낮음)
- 총 보수: 0.50% (가장 높음)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글로벌 수소 및 연료전지 관련 기업에 투자, BlueStar Hydrogen and NextGen Fuel Cell Index 추종
1) 특징
- 연료전지 산업과 수소 관련 기업에 분산 투자한다.
- 총보수가 0.50%로 가장 높다.
- 수익률(0.74%)이 가장 낮아 상대적으로 성과가 부진하다.
3. 각 ETF의 기초 지수
- RISE 수소경제테마 (케이비자산운용) : FnGuide 수소경제테마 지수인데, 국내 수소 관련 기업 위주이다.
- HANARO Fn전기&수소 (NH-Amundi운용) : FnGuide 전기&수소차 지수인데, 국내 전기차 및 수소차 기업을 포함한다.
- RISE 글로벌수소경제 (케이비자산운용) : Indxx Hydrogen Economy Index로 글로벌 수소 산업 전반을 포함한다.
- PLUS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 (한화자산운용) : BlueStar Hydrogen and NextGen Fuel Cell Index로 연료전지 및 차세대 수소 기술 기업을 포함한다.
4. 수소 산업 전망
1) 긍정적인 전망
-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과 지원 확대되고 있다.
- 수소차 및 연료전지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수소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2) 리스크 요소
- 수소 생산 비용이 여전히 높다.
- 인프라 부족으로 실질적인 보급 속도가 느리다.
- 기술 발전과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클 수 있다.
5. 결론
수소 산업은 탄소 중립,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부 지원 확대 등의 흐름 속에서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다. 하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수소 생산 비용, 인프라 구축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아 변동성이 큰 산업이다.
ETF를 선택할 때는 국내 수소 기업에 집중할 것인지, 글로벌 기업에 분산 투자할 것인지, 또는 전기차와 연료전지까지 포함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국내 수소 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RISE 수소경제테마가 좋겠다. 전기차와 수소차 산업을 함께 투자하고 싶다면 HANARO Fn전기&수소를 선택할 수 있다. 글로벌 수소 산업 전반에 투자하고 싶다면 RISE 미국, 유럽 등의 기업을 포함한 글로벌수소경제에 투자할 수 있고, 연료전지 및 차세대 기술을 포함하고 싶다면 PLUS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가 있다.
수소 산업은 장기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지만, 변동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고 장기적인 시각에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