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 관련 ETF의 정의, 상품, 특징 정리

by diary5007 2025. 3. 9.

금 관련 ETF의 정의, 상품, 특징 정리

 

금은 오랜 세월 동안 안전자산으로 여겨져 왔다. 세계 경제가 불안정할 때, 투자자들은 변동성이 큰 주식이나 채권보다 가치가 안정적인 자산을 찾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금이다. 특히,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거나 글로벌 금융 위기가 발생할 때 금 가격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중앙은행들이 금을 보유하는 점 역시 금의 가치를 높이는 요인 중 하나다. 최근에는 개인 투자자들도 금 관련 ETF를 활용하여 간편하게 금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은 금 관련 ETF의 개념과 투자 가능한 상품을 살펴보고 각 상품의 특징도 정리해 보려고 한다.

 

1. 골드 ETF의 개념

골드 ETF는 금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다. 일반적으로 골드 ETF는 실제 금을 보유하는 방식과 금 선물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국내에서 거래되는 골드 ETF는 대부분 금 선물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투자자가 실물 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금 가격에 연동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골드 ETF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어 일반 주식처럼 손쉽게 매매할 수 있으며,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 상품

다음은 '골드'라고 검색해서 찾아낸 ETF 상품이다. 순자산, 평균 거래량, 수익률, 총 보수, 배당, 투자 목적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

1) KODEX 골드선물(H) (삼성자산운용)

  • 순자산: 2,370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162,873주
  • 수익률: 8.89%
  • 총 보수: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S&P GSCI Gold TR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금 선물 가격 변동에 연동되도록 운용

2) TIGER 골드선물(H) (미래에셋자산운용)

  • 순자산: 757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47,951주
  • 수익률: 8.97%
  • 총 보수: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S&P GSCI Gold Total Return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금 관련 장내파생상품에 투자

3)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 (한국투자신탁운용)

  • 순자산: 144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8,545주
  • 수익률: 16.89%
  • 총 보수: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S&P GSCI Gold Excess Return Index의 일간 수익률의 2배에 연동되도록 운용

4) KODEX 골드선물 인버스 (삼성자산운용)

  • 순자산: 33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8,944주
  • 수익률: -7.79%
  • 총 보수: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S&P GSCI Gold Index Excess Return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금 가격 하락에 따라 수익을 내도록 운용

 

3. 각 상품의 특징

이상에서 정리한 각 상품의 특징을 다시 한번 정리한 것이다.

1) KODEX 골드선물(H) & TIGER 골드선물(H)

이 두 ETF는 대표적인 금 선물 기반 상품으로, 금 가격이 상승할 때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총 보수 측면에서는 TIGER 골드선물(H)이 0.39%로 KODEX 골드선물(H)의 0.68%보다 낮아 비용 면에서 유리하다. 거래량은 KODEX 골드선물(H)이 더 많아 유동성이 높은 편이다. 금 가격이 장기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때 투자하기 적합하다.

  상품명 뒤에 붙은 (H)는 '환헤지(Hedged)'를 의미한다. 즉, 원화(KRW)와 미국 달러(USD) 간의 환율 변동 위험을 줄이기 위한 헤지 전략이 적용된 ETF라는 뜻이다. (H) 표시가 있는 ETF는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원/달러 환율이 변해도 금 가격 변동만을 반영해 수익률이 결정된다. 따라서 환율 변동성이 큰 시기에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 그런데, (H) 표시가 없는 ETF는 환헤지가 적용되지 않아, 원/달러 환율 변동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친다. 달러 강세(원화 약세) 시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달러 약세(원화 강세) 시 손실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환율까지 고려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

2)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

이 상품은 금 가격 변동의 2배를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금 가격 상승 시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하락할 경우 손실도 2배로 커질 수 있으므로,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단기 투자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레버리지가 붙은 상품은 아주 위험한데, 금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큰 시점에 투자하면 수익을 볼 수 있지만, 나는 손이 잘 안 가는 상품이다.

3) KODEX 골드선물 인버스

이 ETF는 금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즉, 금 가격이 상승하면 손실이 발생한다. 금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헤지(위험 회피)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금 하락기에 적극적인 운용 전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5. 결론

금 ETF는 금 투자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는 유용한 투자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금 가격 상승을 기대한다면 KODEX 골드선물(H)이나 TIGER 골드선물(H)이 적합하며, 단기적인 수익을 극대화하고 싶다면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를 고려할 수 있다. 반면, 금 가격 하락이 예상될 경우 KODEX 골드선물 인버스를 활용하여 수익을 낼 수도 있다. 그러나 시장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나는 투자할 때 레버리지와 인버스는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투자자들은 본인의 투자 목적과 리스크 선호도에 따라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장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