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는 세계 경제의 핵심 원자재로,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원유 가격은 국제 정세, 공급과 수요 변화, 경제 성장률, 생산국들의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크게 변동한다. 이러한 변동성을 이용하여 투자자들은 원유 ETF를 활용해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
예전에 원유 투자는 선물 시장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높은 진입장벽과 복잡한 거래 구조로 인해 개인 투자자가 접근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원유 ETF는 간편한 주식 거래 방식으로 원유 가격 변화에 투자할 수 있고, 적은 금액으로도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준다.
1. 원유 ETF의 개념
원유 ETF는 원유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로, 일반적으로 WTI(서부 텍사스산 중질유)나 브렌트유(Brent Crude Oil)의 선물 가격을 기초자산으로 한다. 원유 ETF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원유 선물 기반 ETF: 원유 선물 가격을 추종하며, 투자자는 실제 원유를 보유하지 않고도 원유 가격 변동에 투자할 수 있다.
- 원유 기업 관련 ETF: 원유를 직접 거래하지 않고, 원유를 생산하거나 탐사하는 기업들의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ETF를 활용하면 실물 원유를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원유 시장의 움직임을 따라가며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
2. 추종 지수
1) WTI(서부 텍사스산 중질유, West Texas Intermediate) 지수 : 미국에서 생산되는 원유의 대표적인 기준유(벤치마크) 중 하나다. 이 지수는 뉴욕상업거래소(NYMEX, New York Mercantile Exchange)에서 거래되는 WTI 원유 선물 가격을 기반으로 한다.
2) 브렌트유(Brent Crude Oil) 선물 지수 : 국제 원유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지수 중 하나로, 주로 유럽과 아시아 원유 시장의 가격 기준으로 활용된다.
3) S&P GSCI Crude Oil Index Excess Return 지수 : S&P GSCI(S&P Goldman Sachs Commodity Index) 상품 지수의 원유 부문 지수로, NYMEX(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되는 WTI(서부 텍사스산 원유) 선물 가격을 기반으로 한 지수다.
4) S&P Oil & Gas Exploration & Production Select Industry 지수 : 미국의 원유 및 가스 탐사 및 생산 기업들의 주가를 추종하는 지수다. 이 지수는 S&P Dow Jones Indices에서 산출하며, 원유 및 천연가스의 탐사, 채굴, 생산에 집중하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5) MSCI US IMI Energy 25/50 지수 : 미국 증시에 상장된 에너지 관련 기업들을 추종하는 지수로, 특히 원유 및 가스 탐사, 생산, 정제, 유통 등 에너지 산업 전반을 포함하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3. 상품
1) KODEX WTI원유선물(H) (삼성자산운용)
- 순자산: 625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100,004주
- 수익률: -1.24%
- 총 보수: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S&P GSCI Crude Oil Index Excess Return을 기초지수로 하여 WTI 원유 선물 가격 변동에 연동되도록 운용
2) KODEX WTI원유선물인버스(H) (삼성자산운용)
- 순자산: 260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428,550주
- 수익률: 0.93%
- 총 보수: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WTI 원유 선물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
3) TIGER 원유선물 Enhanced(H) (미래에셋자산운용)
- 순자산: 174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63,678주
- 수익률: -1.78%
- 총 보수: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S&P GSCI Crude Oil Enhanced Index Excess Return을 기초지수로 하여 운용
4) RISE 미국S&P원유생산기업(합성H) (케이비자산운용)
- 순자산: 132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25,085주
- 수익률: -10.45%
- 총 보수: 0.25%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S&P Oil & Gas Exploration & Production Select Industry Index를 기초지수로 하여 운용
5) KIWOOM 미국원유에너지기업 (키움투자자산운용)
- 순자산: 76억 원
- 3개월 평균 거래량: 16,871주
- 수익률: -1.69%
- 총 보수:
- 배당: 없음
- 투자 목적: MSCI US IMI Energy 25/5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원유 관련 기업 주식에 투자
4. 각 상품의 특징
- KODEX WTI원유선물(H): 원유 가격이 상승할 때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ETF. 단기적으로 원유 가격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될 때 유용하다.
- KODEX WTI원유선물인버스(H): 원유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된 ETF. 유가 하락장을 예상할 때 유용한 투자 수단이다.
- TIGER 원유선물 Enhanced(H): 선물 계약 롤오버 전략을 최적화하여 운용하는 ETF. 보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원유 시장의 구조적 변동성을 활용할 수 있다.
- RISE 미국S&P원유생산기업(합성H): 원유 생산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원유 가격 변동뿐만 아니라 기업의 실적과 주가 흐름도 영향을 받는다.
- KIWOOM 미국원유에너지기업: 미국의 원유 관련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로, 장기적인 에너지 산업 성장성을 보고 투자할 수 있다.
5. 원유 ETF에 영향을 주는 요소
원유 ETF는 여러 요인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다.
1) 국제 유가 변동: 원유 ETF는 원유 가격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 WTI나 브렌트유 가격이 상승하면 ETF 가격도 상승하고, 하락하면 ETF도 하락한다.
2) OPEC+ 정책 변화: OPEC+의 감산이나 증산 결정은 원유 공급량을 조절하여 유가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ETF 가격에도 반영된다.
3) 글로벌 경제 상황: 경기 침체가 예상되면 원유 수요가 감소하여 ETF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경기 회복 시 원유 소비가 늘어나 ETF 가격 상승 요인이 된다.
4) 미국 달러 환율: 원유는 달러로 거래되므로, 달러 강세일 경우 원유 가격이 하락하고 ETF 가격도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달러 약세는 원유 가격과 ETF 가격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
5) 지정학적 리스크: 중동 지역의 갈등, 전쟁, 국제 제재 등은 원유 공급 불안정을 초래하여 유가상승과 ETF 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6. 결론
원유 ETF는 원유 가격 변동을 활용한 투자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지만, 시장 구조와 가격 변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원유 가격 상승을 기대한다면 KODEX WTI원유선물(H) 같은 상품이 적합하고, 유가 하락을 예상한다면 KODEX WTI원유선물인버스(H)를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원유 관련 ETF는 수익률이 그리 좋지 않은데, 원유는 세계 정책, 경제 상황, 달러 환율, 전쟁 등의 상황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것들을 잘 고려하여 투자해야 한다.